오다큐 전철 3000형 전동차 (2002년 도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다큐 전철 3000형 전동차 (2002년 도입)는 오다큐 전철의 통근형 전동차로, 2001년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21세기 초 환경 문제와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배리어 프리' 디자인을 반영하여 개발되었으며, 기존 노후 차량을 대체하고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저비용, 친환경, 배리어 프리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며, 20m 차체에 6량 또는 8량 고정 편성으로 운행을 시작하여 이후 10량 편성으로 증결되었다. 차량 개량과 래핑 열차 운행 등 다양한 변화를 거쳤으며, 현재 오다큐 전철의 주력 통근 차량으로 운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다큐 전철의 철도 차량 - 오다큐 로망스카
오다큐 로망스카는 오다큐 전철의 특급 열차로, '로맨스 시트'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1930년대부터 사용되었으며 하코네, 에노시마 등 관광지로 향하는 다양한 노선에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 오다큐 전철의 철도 차량 - 오다큐 전철 2000형 전동차
오다큐 전철 2000형 전동차는 1995년부터 2001년까지 도입된 통근형 전동차로, 1000형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좌석 정원 확보 및 승하차 시간 단축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20m급 8량 고정 편성으로 스테인리스강 차체, 1600mm 폭의 출입문, 롱시트 좌석, LED 행선 표시기 등을 갖추고 각역 정차 및 일부 급행으로 운행한다. - 일본의 철도 차량 - 도쿄 급행 전철 5000계 전동차 (2002년 도입)
도쿄 급행 전철 5000계 전동차(2002년 도입)는 노후화된 8000계 및 8500계를 대체하기 위해 2002년부터 도입된 통근형 전동차로, E231계를 기반으로 20m급 4도어 경량 스테인리스 차체를 채용하여 덴엔토시선 등 다양한 노선에서 운용되며 5050계, 5080계, Y500계 등의 파생 차종이 있다. - 일본의 철도 차량 - 조이풀 트레인
조이풀 트레인은 단체 전용의 특별 제작 열차로, 독특한 내외부 디자인을 갖추고 급행 열차 폐지 차량의 개조와 버블 경제 시대를 거치며 발전, 2000년대 이후 관광 열차로 부활하여 지역 진흥에 기여하며 JR 각사별로 운행되고 있다. - 일본의 철도 차량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일본의 철도 차량 - 아키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은 도쿄와 아키타를 잇는 미니 신칸센 노선으로, E6계 전동차 '코마치'호가 운행되며 도호쿠 신칸센과 직결 운행되지만, 모리오카-아키타 구간은 지형적 제약으로 감속 운행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노선이다.
오다큐 전철 3000형 전동차 (2002년 도입) | |
---|---|
개요 | |
![]() | |
제작사 | 가와사키 중공업, 일본차량제조, 도큐 차량 제조 |
제조 년도 | 2001년– |
운행 시작 | 2002년 2월 10일 |
개조 | 2022년– |
제작 수량 | 336량 (47개 편성) (2019년 1월 기준) |
운행 수량 | 336량 (47개 편성) (2019년 1월 기준) |
편성 | 6량/8량/10량 편성 |
차체 | 스테인리스강 |
차량 길이 | 20,000 mm (65 ft 7 in) |
출입문 | 한쪽 면당 4쌍 |
최고 속도 | 100 km/h (62 mph) |
가속도 | 3.3 km/h/s |
견인 장치 | 가변 주파수 (IGBT) |
전기 시스템 | 직류 1,500 볼트 가공 전차선 |
집전 방식 | 팬터그래프 |
안전 장치 | OM-ATS |
병결 운행 | 오다큐 8000 시리즈 |
궤간 | 1,067 mm |
명칭 | |
로마자 표기 | Odakyū 3000-gata |
상세 정보 | |
운용 회사 | 오다큐 전철 |
소속 기지 | 에비나 검차구 |
차체 재질 | 스테인리스강 |
설계 최고 속도 | 120 km/h |
기동 가속도 (단독 운용 시) | 3.3 km/h/s |
기동 가속도 (타 형식과 연결 시) | 2.7 km/h/s |
상용 감속도 | 4.0 km/h/s |
비상 감속도 | 4.5 km/h/s |
차량 정원 (1차차 선두차) | 145명 |
차량 정원 (2차차 이후 선두차) | 144명 |
차량 정원 (1차차 중간차) | 157명 |
차량 정원 (2차차 이후 중간차) | 155명 |
전체 폭 (차체) | 2,786 mm |
전체 폭 (난간 및 홈통 포함) | 2,866 mm |
전체 높이 | 4,120 mm |
주전동기 (1・2차차) | 미쓰비시 전기 MB-5092-A |
주전동기 (3차차 이후) | 미쓰비시 전기 MB-5102-A 또는 MB-5123-A |
주전동기 출력 (1・2차차) | 180 kW |
주전동기 출력 (3차차 이후) | 190 kW |
기어비 (1・2차차) | 99.14 (7.07) |
기어비 (3차차 이후) | 97.16 (6.06) |
제어 방식 | IPM-IGBT 2레벨 VVVF 인버터 제어 |
제동 장치 | 회생 제동 병용 전기 지령 전기 연산식 전자 직통 제동 (MBSA-R) |
보안 장치 | OM-ATS, D-ATS-P |
2. 등장의 배경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대한민국은 IMF 외환 위기 이후 경제 회복과 함께 사회 전반적으로 환경 문제와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특히, 대중교통 분야에서는 친환경, 저비용, 그리고 교통약자를 배려하는 '배리어 프리' 디자인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발맞춰, 오다큐 전철은 기존 노후 차량을 교체하고, 새로운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신형 전동차를 개발하게 되었다. 당시 일본 철도 업계는 차량 및 기기 표준화를 통해 비용 절감을 꾀하는 '표준 차량' 개발에 주력하고 있었으며, 오다큐 전철 역시 이러한 추세에 따라 3000형 전동차 개발에 착수했다.
3000형 전동차는 제조 시기에 따라 여러 차례 사양이 변경되었다. 본 문단에서는 등장 당시의 사양을 기본으로 설명하고, 증비 중의 변경 사항은 해당 표를, 갱신에 의한 변경 사항은 연혁 문단을 참조한다.
당시 오다큐 전철의 통근 차량 주력이었던 2600형, 5000형, 9000형은 제조된 지 30년 전후가 지나 여객 서비스 수준이 낮아져 교체가 필요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환경 부하 저감"과 "배리어 프리 추진"을 목표로, 저비용을 추구하며, 기존 차량과도 연결이 가능하고, 하코네 등산 전차에도 운행이 가능한 지상선 전용 차량으로 3000형 전동차가 등장했다.
3. 차량 개설
3000형은 20m 길이의 차량으로, 6량 고정 편성과 8량 고정 편성으로 제조되었다. 2011년 이후에는 중간차를 추가하여 6량 고정 편성을 10량 고정 편성으로 변경하기도 했다. 형식은 선두차가 제어차인 쿠하3050형, 중간차는 전동차인 데하3000형과 부수차인 사하3050형이다.
1차 도입분은 2000형의 사양을 따랐지만, 2차 도입분부터는 '통근·근교 전동차 표준 사양 가이드 라인'에 따라 범용품 사용을 늘렸다. 3차 도입분 이후에는 가이드 라인에 따른 표준화 사양의 기기류를 채용한 '표준형 차량'으로 변경되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환경 부하 저감"과 "배리어 프리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고, 불황 등으로 인해 수송 인원이 감소하면서 비용 절감도 중요해졌다. 일본 철도 업계는 차량 사양 및 기기 표준화를 통해 비용 절감을 꾀하는 "표준 차량"에 대한 노력을 시작했다. 오다큐에서는 당시 주력 통근 차량이었던 2600형, 5000형, 9000형이 노후화되어 교체가 필요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3000형은 "환경 부하 저감"과 "배리어 프리 추진"을 목표로, 저비용을 추구하며, 기존 차량과도 연결 가능하고 하코네 등산 전차에도 운행 가능한 지상선 전용 차량으로 등장했다.제조 차수 1차차 2차차
(도큐)2차차
(가와사키)3차차 4차차 5차차 6차차 7차차 8차차 9차차
(중간 신조차)10차차
(중간 신조차)제조 연도 2001년도 2002년도 2003년도 2004년도 2005년도 2006년도 2010년도 2017년도~ 제조 메이커 일본 차량 도큐 차량 가와사키 중공업 일본 차량 도큐 차량 가와사키 중공업 일본 차량 가와사키 중공업 객실 측면 출입문 와이드 도어
(1.6m)표준 도어
(1.3m)측면 행선 표시기 3색 LED
소형3색 LED
대형풀 컬러 LED
대형객실 내 안내 표시기 LED
엇갈린 배치15형 LCD
엇갈린 배치15형 LCD
전 출입문 위 배치17형 와이드 LCD
전 출입문 위 배치좌석 형태 버킷 시트 외팔이 버킷 시트 스커트 형태 소형 스커트 스텝 일체형 대형 스커트 주 전동기 정격 출력 180kW 190kW
3. 1. 차체
3000형 전동차의 차체는 1000형, 2000형과 같이 프레임과 구체 모두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된 올 스테인리스 차량이다. 일차식 블록 공법을 적용하여 측면 출입문 부분의 외판이 독립되어 있고, 막판 부분 중간에 이음매가 있다. 1000형 및 2000형과 동일하게 표면은 달 피니시(금속 표면) 마감으로 처리되었으며, 출입문 부분은 헤어라인 마감으로 엑센트를 주었다.
차체 단면 형상은 2600형부터 2000형까지 이어져 온 차체 하부 압축 구조를 없애고 직선 형태로 변경되었다. 외판은 1000형, 2000형의 두께 1.5mm에서 2.5mm로 변경되었고, 차체 하부 창 밑(요판)이나 구석 판자의 보강을 생략하여 경량화를 실현했다. 적절한 측면 기둥 배치로 차체 강도를 유지했으며, 이는 비용 절감에도 기여했다. 바닥 높이는 기존 차량보다 30mm 낮게 설정하여 승강장과의 단차를 줄였다. 차체 경량화 결과, 기존 오다큐 스테인리스 차량 대비 약 15%의 경량화를 달성했다.
8차 도입분 이후에는 2005년 4월 JR 후쿠치야마 선에서 발생한 사고를 계기로 골격 재질과 부재 판 두께를 변경하여 측면 충돌 시 차체 강도를 높였고, 이로 인해 자중이 증가했다.
전면은 일반 차량에서 2200형 이후 비관통형으로, 기존 오다큐 통근 차량의 이미지와는 크게 다르다. 전면 골격을 덮는 부분은 재활용을 고려하여 1000형, 2000형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제 성형품 대신 강철제로 변경하고, 실버 메탈릭으로 도색했다. 2차 도입분까지는 선두차 전면 유리 하부에 파란색 띠를 둘렀으나, 3차 도입분부터는 가늘고 짧은 띠로 변경되었다.
전면 하부에는 대차 하부 덮개(스커트)가 설치되었는데, 3차 도입분부터 형상이 변경되어 측면에도 스커트를 장착할 수 있게 되었고, 승무원 계단과 일체화되었다. 전조등과 미등(표지등)은 기존 창 하부에서 창 상부로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청소 및 전구 교체를 용이하게 했다.[23]
측면 객실 출입문 높이는 기존 차량보다 40mm 높인 1,870mm이다. 출입문 폭은 1차 도입분에서 승무원실(운전실) 인접 부분만 1,300mm, 나머지는 1,600mm 폭의 양여닫이문이었으나, 2차 도입분 이후 모든 출입문이 1,300mm 폭으로 변경되었다. 차량 간 관통로는 800mm 폭이다.
측면 창 배치는 1차 도입분에서 객실 출입문 사이에 차창과 1,000mm 폭의 1단 하강창을 배치했지만, 2차 도입분 이후 차창을 생략하고, 측면 창은 JR 동일본 E231계와 공통인[18] 1단 하강창과 고정창 조합으로 변경했다. 차량 단부 창은 1차 도입분이 차창만, 2~7차 도입분은 고정식, 8차 도입분 이후는 1단 하강창이다. 모든 측면 유리는 UV 차단 유리를 사용하고, 객실 창 롤 커튼은 폐지했다. 출입문 창은 복층 유리로 하여 결로를 방지하고, 출입문 부분 단차를 없앴다. 오다큐 통근 차량 최초로 처면 창을 폐지했다(1900형 ABF차 사하 1950형 등 일부 예외).
전면, 측면 종별·행선 표시기는 LED식이다. 측면 표시기는 2차 도입분 3258×6까지 가로 128도트×세로 32도트였으나,[19] 3259×6 이후 가로 192도트×세로 48도트로 확대하여[20] 시인성을 높였다. 7차 도입분 이후는 풀 컬러 LED 표시기를 채용했다. 가로 128도트×세로 32도트 소형 표시기는 구간준급[21], 쾌속급행[22] 종별을 행선과 함께 표시할 수 없어 종별과 행선을 번갈아 표시한다. 이 방식은 과거 1000형 와이드도어 차량에서도 사용되었다.
3. 2. 실내
오다큐 3000형 전동차(2002년 도입)의 실내는 승객의 편안함과 안전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좌석은 모두 롱 시트로, 출입문 사이에는 7인용, 출입문과 연결면 사이에는 3인용 좌석이 배치되어 있다. 착석감을 높이기 위해 버킷 시트를 채택했으며, 빨간색에서 보라색으로 이어지는 그라데이션 무늬의 모켓을 사용하여 시각적인 편안함을 제공한다. 우선석은 일반 좌석과 다른 배색을 사용하여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2차 도입분 이후에는 외팔이 좌석을 채택하고 좌석 칸막이를 대형화하였으며, 우선석은 파란색 계열의 모켓을 사용했다.
선두차에는 휠체어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휠체어 이용객이 없을 때는 3인용 접이식 좌석을 사용할 수 있다.[14] 손잡이는 승객의 키를 고려하여 기존 차량보다 50mm, 우선석 부분에서는 100mm 낮게 설치되었다. 1차 도입분에서는 원형 손잡이를 사용했으나, 2차 도입분부터는 삼각형으로 변경되었다.
차내 안내 표시기는 초기 LED 스크롤식에서 액정 모니터(LCD) 방식으로 변경되어 시인성이 향상되었다. 3차 도입분까지는 LED 스크롤식 안내 표시기가 각 차량 출입문 위에 엇갈리게 배치되었으나, 4차 도입분부터는 액정 모니터식 안내 표시기로 변경되었고, 5차 도입분 이후에는 모든 출입문 위에 설치되었다.
3. 3. 주요 기기
3000형 전동차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소음을 줄이기 위해 미쓰비시 전기제 IPM-IGBT 소자 2레벨 방식의 VVVF 인버터 제어 장치를 채택했다. 1차 및 2차 도입분에는 주전동기 2대를 제어하는 (1C2M) 유닛을 3군 묶은 MAP-196-15V96형을 데하 3200번대와 데하 3400번대에 설치했다. 3차 도입분 이후에는 인버터 1기로 주전동기 4대를 제어하는 (1C4M) 유닛을 2군 탑재한 MAP-198-15V115형을 데하 3200번대, 데하 3600번대, 데하 3800번대에, 1군만 사용하는 MAP-194-15V116형을 데하 3400번대 차량에 탑재했다. 이 장치들은 드라이 패널을 이용한 자연 냉각 방식으로 냉매를 사용하지 않아 장치 간략화, 신뢰성 및 관리성 향상, 경량화를 이루었다.[26] 또한 벡터 제어 방식을 채택하여 안정적인 가속 및 제동 성능을 확보하고, 정속 운전 기능도 도입되었다.
주전동기는 미쓰비시 전기제 자기 통풍식 농형 3상 유도전동기를 채택했다. 1차 및 2차 도입분에는 출력 180kW의 MB-5092-A형, 기어비 99:14(7.07)를 사용했으나, 3차 도입분 이후에는 출력 190kW의 MB-5102-A형, 기어비 97:16(6.06)을 채택하여 동일 속도에서 주전동기 회전수를 낮춰 소음을 줄였다. 구동 방식은 WN 구동이다.
제동장치는 회생 제동 병용 전전기지령식 전자 직통제동(MBSA-R)을 채택하여 공기관을 줄여 경량화를 이루었고, 정지 직전까지 회생 제동을 사용하고 정지까지 전기 제어를 하는 순 전기 브레이크를 채용했다. 전자직통제동(공기 지령 방식)을 사용하는 1000형 이전 차량과 병결 운행을 할 때는 제동을 상호 변환하기 위해 브레이크 독체 장치를 쿠하 3250번대에 탑재했다. 또한 활주 방지 제어 장치를 설치하여 미끄럼을 방지한다.
대차는 경량화를 위해 도큐 차량 제조와 스미토모 금속 공업(현 일본 제철)이 공동 설계한 축량식 액슬 박스 지지 방식 볼스터리스 대차를 채택했다.[23] 전동 대차는 TS-1026형, 부수 대차는 TS-1027형이며, 고정축 거리는 2,100mm, 차륜 지름은 860mm이고 방음링이 부착된 차륜을 사용한다. 부수 대차에는 활주 방지 제어용 속도 센서가 축 끝에 설치되어 있다. 좌우 진동 방지를 위해 공기 스프링은 앞뒤 방향으로 부드럽고 좌우 방향으로는 단단하게 설정되었다. 1차 및 2차 도입분에서는 데하 3300번대와 데하 3500번대의 오다와라 방면 대차는 부수 대차를 사용했다. 기초 제동 장치는 싱글식(편밀기식)으로, 오다큐에서는 처음으로 유닛 브레이크가 채용되었다.
집전장치(팬터그래프)는 30000형 EXE에서 채용된 싱글암식을 채택하여 데하 3200번대, 데하 3400번대, 데하 3600번대, 사하 3750번대, 데하 3800번대에 설치했다. 습판은 강설 시 착설량 절감을 위해 강도를 높이고 테두리를 얇게 한 알루미늄제로 제작되었다. 또한 상승 검지 장치를 설치하여 운전대 모니터에서 상승 및 하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냉방 장치는 오다큐 최초로 집중식 냉방 장치를 채택했다. 1차 도입분부터 2차 도입분의 3258×6 편성까지는 냉방 용량 48.84kW (42,000kcal/h)의 미쓰비시 전기 CU-705형, 2차 도입분의 3259×6 편성 이후는 58.14kW (50,000kcal/h) 용량의 미쓰비시 전기 CU-709형, 3차 도입분 이후에는 CU-709와 동일한 성능에 TIOS에 대응하는 미쓰비시 전기 CU-710형을 채택했다.
보조 전원장치는 IGBT 소자식 정지형 인버터(SIV)를 채택했다. 출력은 1차 도입분부터 2차 도입분의 3258×6 편성까지는 130kVA, 2차 도입분의 3259×6 편성 이후는 140kVA였다. 3차 도입분 이후 8량 편성에서는 210kVA로 설정되었다. 모두 출력 전압을 삼상 교류 440V로 하여 인통 전선 굵기를 줄여 경량화를 이루었다. 8차 차량 이전의 전동 공기 압축기(CP)는 삼상 교류 440V로 구동되는 저소음 스크롤식 RC1500형을 탑재했다. 9차 차량에서는 MBU1100Y-2형으로 변경되었다.[27]
4. 연혁
2001년에 1차 도입분 4개 편성이 제작되어, 2002년 2월 10일부터 영업 운행을 시작했다.[28] 이로 인해 2600형 NHE차의 폐차가 진행되었다. 2002년에는 2차 도입분이 제작되었는데, '통근·근교 전동차 표준 사양 가이드 라인'에 맞춰 범용 장치 도입이 확대되었다. 2002년 8월에는 3254×6편성에 방음 스커트를 설치하여 소음 감소 효과를 확인하는 시험을 했다.[29]
2003년 후반 이후에 제조된 3차 도입분부터는 표준화 사양 기기 채용을 더욱 진행하였고, 8량 고정 편성이 새롭게 등장했다. 이 시기에 제조된 편성 중 3263×6편성은 시험적으로 측면 전체에 방음 커버를 장착하여 바닥 전체가 방음 커버로 덮인 사양으로 등장했다. 또한 이 시기에 1차 및 2차 도입분 전면의 청색 띠는 가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2005년에는 비교를 위해 3265×6편성의 전동차에만 방음 커버를 설치했다. 2006년 2월부터는 3263×6편성은 전동차의 대차 부근에만 방음 커버가 설치되었으며, 같은 해에는 3265×6편성에 전폐형 주전동기를 탑재하고 시험을 했다. 이들 시험 종료 후 2008년 7월에는 3263×6편성의 대차 주변 방음 커버는 철거되었다.
3000형의 증비는 2007년에 종료되었다. 6량 고정 편성은 주로 다른 형식 4량 고정 편성과 연결하여 10량 편성으로 급행, 쾌속 급행으로 운용되었고, 8량 고정 편성은 주로 각역 정차로 운용되었다.
2007년 11월부터 2008년 3월까지 개업 80주년을 기념하여 공모한 '전동차 디자인 콘테스트' 수상작을 3661×8편성 전 차량에 래핑하여 운행했다.
2010년부터는 6량 고정 편성의 일부에 대해 신조한 중간차 4량을 포함, 10량 고정 편성화를 진행했다. 10량 편성화되는 편성은 2010년도에 가장 새로운 8차 도입분이 선정되었으며, 2011년도에는 7차 도입분의 6량 고정 편성에서 가장 새로운 3278×6편성과 3279×6편성이 선정되었다.
2011년 8월에는 후지코 F. 후지오 뮤지엄 개관을 기념하여[50] 3093×10편성에 후지코 F. 후지오 작품의 캐릭터를 디자인한 래핑을 하고 차내 장식을 실시한 '오다큐 F-Train'으로 1년간 운행할 예정이었으며,[51] 같은 해 8월 3일부터 운행을 개시했다. 그러나 도쿄도에서 "랩핑이 거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어 조례로 차체의 10%로 규정된[52] 비율을 크게 벗어나 도쿄 도 옥외 광고물 조례에 저촉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았기 때문에, 예정보다 대폭 빠른 같은 해 9월 30일부터 F-Train 운행이 중단되었다.[35]
이후 팬 등의 부활 요청에 따라 오다큐 전철은 연선 지자체와 협의를 거듭한 결과, 캐릭터 도안을 작게 하되 캐릭터 수를 늘리는 방식으로 조건을 클리어한 후 'F-Train II'로 2012년 7월 20일부터 운행을 재개한다고 발표했다.[36]
2013년 2월부터는 8000형 리뉴얼 차량과 병결한 영업 운행이 개시되었다.[53]
2015년 3월부터 차내 광고 '오다큐 TV' 운용이 개시되었다.
2017년에는 8량 고정 편성의 10량 고정 편성화를 위한 중간차 2량 도입이 예정되었다.[38] 2017년 9월에는 산구바시역 부근 연선 화재로 3651×8편성이 피해를 입었으나,[38] 2019년 4월에 운행 복귀했다.
2022년부터 3000형 전동차 리뉴얼이 시작되어 제어 장치, 공기 압축기 갱신, 방범 카메라 설치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39]
5. 운용 현황
3000형 전동차는 오다큐 전철의 오다와라선, 에노시마선, 타마선에서 운행되고 있다. 6량 편성은 주로 각역 정차 및 다른 형식(4량 편성)과 연결하여 10량 편성으로 급행, 쾌속 급행으로 운용된다. 8량 편성은 주로 각역 정차, 구간 준급으로 운용된다. 10량 편성은 주로 급행, 쾌속 급행으로 운용된다.[1]
전장 20m 차량에 의한 6량 고정 편성과 8량 고정 편성으로 제조되었으며, 2011년 이후에는 중간차를 증비하여 6량 고정 편성에 조성되면서 10량 고정 편성이 등장하고 있다. 형식은 선두차가 제어차의 쿠하 3050형으로, 중간차는 전동차의 데하 3000형과 부수차 사하 3050형이다.[1]
제조 시기에 따른 주요 구성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제조 순서 | 1차 도입분 | 2차 도입분 (도큐 차량) | 2차 도입분 (가와사키 중공업) | 3차 도입분 | 4차 도입분 | 5차 도입분 | 6차 도입분 | 7차 도입분 | 8차 도입분 | 9차 도입분 (중간차 신조) | ||
---|---|---|---|---|---|---|---|---|---|---|---|---|
제조년도 | 2001년도 | 2002년도 | 2003년도 | 2004년도 | 2005년도 | 2006년도 | 2010년도 | |||||
제작사 | 일본차량제조 | 도큐 차량 | 가와사키 중공업 | 일본차량제조 | 도큐 차량 | 가와사키 중공업 | 일본차량제조 | 가와사키 중공업 | ||||
승객용 출입문 | 와이드 도어 (1.6m) | 표준 도어 (1.3m) | ||||||||||
측면 행선 표시기 | 3색 LED 소형 | 3색 LED 대형 | 풀컬러 LED 대형 | |||||||||
객실내 안내 표시기 | LED 천정 배치 | LCD 천정 배치 | LCD 전체 출입문 상부 배치 | |||||||||
좌석 형태 | 버킷 시트 | 편측식 버킷 시트 | ||||||||||
배장기 형태 | 소형 스커트 | 스텝 일체형 대형 스커트 | ||||||||||
주전동기 정격 출력 | 180kW | 190kW |
6. 파생 형식
오다큐 전철 3000형 전동차(2002년 도입)는 다양한 파생 형식이 존재한다. 2000형 전동차에 준하는 사양으로 시작하여, '통근·근교 전동차 표준 사양 가이드 라인'에 맞춰 범용품 도입을 확대하고, 이후 표준화 사양의 기기류를 채용한 '표준형 차량'으로 이행했다.
3000형 전동차는 6량 고정 편성과 8량 고정 편성으로 제조되었다. 2011년 이후에는 중간차를 추가하여 6량 편성을 10량 편성으로 개조한 차량이 등장했다. 2010년, 오다큐 전철은 6량 편성 열차를 10량 편성으로 늘리기 위해 8량의 차량을 추가 도입할 계획을 발표했다.[4] 이 차량들은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2010년과 2011년 사이에 제작되어,[5] 6량 편성 2개(3280편성, 3281편성)를 10량(3091편성, 3092편성)으로 늘리는데 사용되었다.[1] 첫 번째 10량 편성인 3091편성은 2011년 1월 20일에 운행을 시작했다.[6]
2017년 이후 8량 편성에 중간차 2량을 추가하여 10량 편성으로 개조된 편성이 있다. 2019년 1월 기준으로, 5개의 10량 편성 열차가 추가로 도입되었다: 3081편성, 3082편성 (구 8량 편성 3665편성 및 3664편성), 그리고 3093~3095편성 (구 6량 편성 3282편성, 3278편성, 3279편성).[7][8][9]
일부 편성은 휠체어 공간, 감시 카메라, 에너지 절약 장비 등을 갖춘 개조를 받았다.[10]
제조 시기에 따라 주요 구성 요소에 차이가 있다.
제조 차수 | 1차차 | 2차차 (도큐) | 2차차 (가와사키) | 3차차 | 4차차 | 5차차 | 6차차 | 7차차 | 8차차 | 9차차 (중간 신조차) | 10차차 (중간 신조차) | |
---|---|---|---|---|---|---|---|---|---|---|---|---|
제조 연도 | 2001년도 | 2002년도 | 2003년도 | 2004년도 | 2005년도 | 2006년도 | 2010년도 | 2017년도~ | ||||
제조 메이커 | 일본 차량 | 도큐 차량 | 가와사키 중공업 | 일본 차량 | 도큐 차량 | 가와사키 중공업 | 일본 차량 | 가와사키 중공업 | ||||
객실 측면 출입문 | 와이드 도어 (1.6m) | 표준 도어 (1.3m) | ||||||||||
측면 행선 표시기 | 3색 LED 소형 | 3색 LED 대형 | 풀 컬러 LED 대형 | |||||||||
객실 내 안내 표시기 | LED 엇갈린 배치 | 15형 LCD 엇갈린 배치 | 15형 LCD 전 출입문 위 배치 | 17형 와이드 LCD 전 출입문 위 배치 | ||||||||
좌석 형태 | 버킷 시트 | 외팔이 버킷 시트 | ||||||||||
스커트 형태 | 소형 스커트 | 스텝 일체형 대형 스커트 | ||||||||||
주 전동기 정격 출력 | 180kW | 190kW |
7. 평가 및 전망
3000형 전동차는 21세기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여 '환경 부하 저감'과 '배리어 프리 추진'을 목표로 개발되어, 오다큐 전철의 통근 수송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뛰어난 성능과 효율성, 특히 환경 친화적인 설계와 배리어 프리 디자인은 대한민국 사회의 변화와 요구에 부합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44]
2017년에는 연선 화재 사고가 발생하여 안전 운행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3000형 전동차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개량과 리뉴얼을 통해 오다큐 전철의 주력 차량으로 활약할 것으로 전망된다.
8. 기타
오다큐 전철은 후지코·F·후지오 박물관 개관을 기념하여 3000형 전동차에 도라에몽 캐릭터를 래핑한 'F-Train'을 운행했으나, 도쿄도의 옥외 광고물 조례에 저촉되어 운행이 중단되었다. 이후 디자인을 변경한 'F-Train II'가 운행되기도 했다.
3000형 전동차의 개발 및 운용 경험은 대한민국의 대중교통 시스템 개선에 여러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환경 친화적 설계, 배리어 프리 디자인, 에너지 효율 향상 등은 대한민국이 지속 가능한 대중교통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참고할 만한 사례이다. 또한 'F-Train' 사례는 공공 디자인과 광고 규제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준다.[50][51][52]
8. 1. 도라에몽 래핑 열차 ('F-Train')
오다큐 전철은 2011년 8월, 가와사키시에 있는 후지코·F·후지오 박물관 개관을 기념하여 3000형 전동차 3093편성(10량)에 도라에몽 캐릭터를 래핑한 'F-Train'을 운행했다. 'F-Train'은 큰 인기를 끌었다.[11]그러나 도쿄도는 이 래핑이 옥외 광고물 조례에 저촉된다는 의견을 제시했고, 'F-Train'은 2011년 9월 30일 운행을 중단하고 래핑을 제거했다.[11]
이후 오다큐 전철은 디자인을 변경한 'F-Train II'를 운행하기도 했다. 'F-Train' 사건은 대중교통 디자인과 광고 규제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 중요한 사례로 꼽힌다.
8. 2. 대한민국 대중교통에 주는 시사점
3000형 전동차의 개발 및 운용 경험은 대한민국의 대중교통 시스템, 특히 도시 철도 시스템 개선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환경 친화적 설계: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환경 부하 저감'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3000형 전동차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맞춰 개발되었으며, 대한민국도 대중교통 시스템의 환경 친화성을 높이는 데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 배리어 프리 디자인: '배리어 프리'는 또 다른 중요한 사회적 관심사이다. 3000형 전동차는 휠체어 공간 확보, 손잡이 높이 조절, 넓은 관통문 등 배리어 프리 설계를 적극적으로 도입했다. 이는 대한민국이 모든 시민이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참고할 만하다.
- 에너지 효율 향상: 3000형 전동차는 VVVF 인버터 제어 장치, 회생 제동 시스템, 경량화된 차체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였다. 이는 대한민국의 대중교통 시스템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공공 디자인과 광고 규제의 조화: 3000형 전동차를 활용한 'F-Train'은 공공 디자인과 광고 규제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준다. 도쿄도의 옥외 광고물 조례에 저촉되어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디자인을 변경하여 운행을 재개한 사례는[50][51][52], 대한민국의 관련 정책 결정 과정에서 시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공공 디자인과 광고 규제 사이의 균형점을 찾아야 함을 시사한다.
9. 제조 시기에 따른 구성의 차이
오다큐 3000형 전동차(2002년 도입)는 제조 시기에 따라 구성에 차이가 있다. 1차 도입분은 2000형과 유사한 사양을 채택했지만, 2차 도입분부터는 '통근·근교 전동차 표준 사양 가이드 라인'에 따라 범용품 도입을 확대했다. 3차 도입분 이후에는 가이드 라인에 따른 표준화 사양의 기기류를 채용한 '표준형 차량'으로 변경되었다.
10량 편성 전동차는 3081편부터 3095편까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1]
기호 | Tc1 | M1 | M2 | T1 | T2 | M3 | M4 | T3 | M5 | Tc2 |
---|---|---|---|---|---|---|---|---|---|---|
차량 번호 | 3050 | 3000 | 3100 | 3150 | 3250 | 3200 | 3300 | 3350 | 3400 | 3450 |
M1, T1, M3, M5 차량에는 각각 1개의 싱글암 팬터그래프가 탑재되어 있다.[1]
8량 편성 전동차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2]
편성 | Tc1 | M1 | M2 | T1 | T2 | M3 | M4 | Tc2 |
---|---|---|---|---|---|---|---|---|
차량 번호 | 3650 | 3600 | 3700 | 3750 | 3850 | 3800 | 3900 | 3950 |
M1, T1, M3 차량에는 각각 1기의 싱글 암 팬터그래프가 탑재되어 있다.[2]
6량 편성 전동차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2]
편성 | Tc1 | M1 | M2 | M3 | M4 | Tc2 |
---|---|---|---|---|---|---|
차호 | 3250 | 3200 | 3300 | 3400 | 3500 | 3550 |
M1 및 M3 차량에는 각각 1개의 싱글 암 팬터그래프가 장착되어 있다. 3252 ~ 3254편성은 더 넓은 출입문을 가지고 있다.[2]
6량 고정 편성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편성 | Tc1 | M1 | M2 | T | M3 | Tc2 |
---|---|---|---|---|---|---|
차량 번호 | 3250 | 3200 | 3300 | 3350 | 3400 | 3450 |
M1 및 M3 차량에는 각각 싱글 암 팬터그래프가 1개씩 장착되어 있다.
제조 차수에 따른 주요 사양 차이는 아래 표와 같다.
제조 차수 | 1차차 | 2차차 (도큐) | 2차차 (가와사키) | 3차차 | 4차차 | 5차차 | 6차차 | 7차차 | 8차차 | 9차차 (중간 신조차) | 10차차 (중간 신조차) | |
---|---|---|---|---|---|---|---|---|---|---|---|---|
제조 연도 | 2001년도 | 2002년도 | 2003년도 | 2004년도 | 2005년도 | 2006년도 | 2010년도 | 2017년도~ | ||||
제조 메이커 | 일본 차량 | 도큐 차량 | 가와사키 중공업 | 일본 차량 | 도큐 차량 | 가와사키 중공업 | 일본 차량 | 가와사키 중공업 | ||||
객실 측면 출입문 | 와이드 도어 (1.6m) | 표준 도어 (1.3m) | ||||||||||
측면 행선 표시기 | 3색 LED 소형 | 3색 LED 대형 | 풀 컬러 LED 대형 | |||||||||
객실 내 안내 표시기 | LED 엇갈린 배치 | 15형 LCD 엇갈린 배치 | 15형 LCD 전 출입문 위 배치 | 17형 와이드 LCD 전 출입문 위 배치 | ||||||||
좌석 형태 | 버킷 시트 | 외팔이 버킷 시트 | ||||||||||
스커트 형태 | 소형 스커트 | 스텝 일체형 대형 스커트 | ||||||||||
주 전동기 정격 출력 | 180kW | 190kW |
10. 편성표
호차 | 1 | 2 | 3 | 4 | 5 | 6 | 7 | 8 | 비고 | |
---|---|---|---|---|---|---|---|---|---|---|
형식 | 쿠하3050 | 데하3000 | 데하3000 | 사하3050 | 사하3050 | 데하3000 | 데하3000 | 쿠하3050 | ||
구분 | Tc2 | M4 | M3> | T2 | T1> | M2 | M1> | Tc1 | ||
차량 번호 | [42] | |||||||||
3952 | 3902 | 3802 | 3852 | 3752 | 3702 | 3602 | 3652 | |||
3953 | 3903 | 3803 | 3853 | 3753 | 3703 | 3603 | 3653 | |||
탑재 기기 | SIV,CP | VVVF | CP,간이 | 간이 | SIV,CP | VVVF | ||||
자중 | 26.2ton | 33ton | 34.4ton | 26.7ton | 26.3ton | 33ton | 34.4ton | 26.4ton | ||
정원 | 144 | 155 | 155 | 155 | 155 | 155 | 155 | 144 |
- 범례: Tc (제어차), M (전동차), T(부수차), VVVF(주 제어기), SIV(보조 전원 장치), CP(공기 압축기), PT(집전 장치), 간(간이 운전대)
- >는 팬터그래프가 있는 차량.
10량 편성 기호 | Tc1 | M1 | M2 | T1 | T2 | M3 | M4 | T3 | M5 | Tc2 |
---|---|---|---|---|---|---|---|---|---|---|
차량 번호 | 3050 | 3000 | 3100 | 3150 | 3250 | 3200 | 3300 | 3350 | 3400 | 3450 |
- 10량 편성의 전동차는 3081편부터 3095편까지이다.[7][8][9]
- M1, T1, M3, M5 차량에는 각각 1개의 싱글암 팬터그래프가 탑재되어 있다.[1]
8량 편성 | Tc1 | M1 | M2 | T1 | T2 | M3 | M4 | Tc2 |
---|---|---|---|---|---|---|---|---|
차량 번호 | 3650 | 3600 | 3700 | 3750 | 3850 | 3800 | 3900 | 3950 |
6량 편성 | Tc1 | M1 | M2 | M3 | M4 | Tc2 |
---|---|---|---|---|---|---|
차호 | 3250 | 3200 | 3300 | 3400 | 3500 | 3550 |
- M1 및 M3 차량에는 각각 1개의 싱글 암 팬터그래프가 장착되어 있다.
- 3252 ~ 3254편성은 더 넓은 출입문을 가지고 있다.[2]
6량 편성 | Tc1 | M1 | M2 | T | M3 | Tc2 |
---|---|---|---|---|---|---|
차량 번호 | 3250 | 3200 | 3300 | 3350 | 3400 | 3450 |
- M1 및 M3 차량에는 각각 싱글 암 팬터그래프가 1개씩 장착되어 있다.
참조
[1]
간행물
小田急電鉄3000形 中間車製造と10両固定編成化
Kōyūsha Co., Ltd.
null
[2]
서적
私鉄車両編成表 2010
JRR
2010-08
[3]
간행물
大手私鉄の最新通勤形電車
Koyusha Co., Ltd.
2002-09
[4]
웹사이트
小田急3000形10輌固定編成 試運転
http://rail.hobidas.[...]
Neko Publishing
2011-01-08
[5]
간행물
大手私鉄の車両ファイル 車両データバンク
Koyusha Co., Ltd.
2011-09
[6]
웹사이트
10両固定編成の小田急3000形が営業運転を開始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2-06-08
[7]
간행물
大手私鉄の車両ファイル 車両データバンク
Koyusha Co., Ltd.
2012-08
[8]
웹사이트
小田急3000形3081編成が試運転を実施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3-04-08
[9]
웹사이트
小田急3000形3082編成が営業運転を開始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3-04-08
[10]
웹사이트
小田急電鉄5000形、2024年度は2編成新造 - 3000形のリニューアルも
https://news.mynavi.[...]
2024-05-16
[11]
웹사이트
Ad rule means end of Doraemon train
http://www.yomiuri.c[...]
The Yomiuri Shimbun
2012-02-02
[12]
문서
현:[[종합차량제작소|종합차량제작소요코하마사업소]]
[13]
문서
PHP연구소「오다큐전철의 비밀」34페이지。
[14]
문서
선두차의 휠체어 공간에 존재하는 3인용 접이식 좌석을 접은 상태의 입석 정원 증가분은 3명이므로, 총 정원은 변하지 않는다([[#RJ422|오다큐운전차량부 (2001) p.81]])。
[15]
문서
[[#大幡2002|大幡 (2002) p.151]]
[16]
문서
『철도 다이어 정보』통권 145호 p.15
[17]
문서
철도도서간행회「철도 픽토리얼」2003년 10월 임시증간호철도차량연감2003년판「오다큐전철3000형(2차차)」 기사。
[18]
문서
네코・퍼블리싱「레일 매거진」2005년 7월호 특집「더・스탠다드E231」기사。
[19]
문서
16도트의 표시기를 가로로 8장 늘어놓은 것을 세로로 2열로 늘어놓았다([[#岸上829|기시가미 (2010) p.266]])。
[20]
문서
16도트의 표시기를 가로로 12장 늘어놓은 것을 세로로 3열로 늘어놓았다([[#岸上829|기시가미 (2010) p.266]])。
[21]
문서
2016년 3월 26일의 다이어에 의해 구간 준급이 폐지되었기 때문에, 종별과 행선의 교호 표시에 대해서는 쾌속 급행만이 된다。
[22]
문서
현재는 ROM갱신이 행해졌기 때문에, 각역 정차 및 2018년 다이어 개정으로 신설된 통근 급행에서도 마찬가지로 교호 표시된다。
[23]
문서
일본철도차량공업회「차량기술」223호「오다큐전철3000형 전차」기사。
[24]
문서
특급 차량에서는[[오다큐7000형 전차|7000형LSE차]]에서[[오다큐30000형 전차|30000형EXE차]]까지 원 핸들 마스콘의 채용 실적이 있지만, 모두 오른손 조작식이다。
[25]
문서
철도도서간행회「철도 픽토리얼」2004년 10월 임시증간호철도차량연감2004년판「오다큐전철3000형(3차차)」 기사。
[26]
문서
"[https://www.giho.mitsubishielectric.co.jp/giho/pdf/2004/0412.pdf 「오다큐3000형향 VVVF인버터 장치」]"
[27]
서적
[[철도 픽토리얼]] 2020년 8월 임시증간호【특집】오다큐전철
[[전기차연구회]]
2020-08-10
[28]
간행물
신형 통근 차량「3000형」헤세이14년2월10일(일)에 데뷔
http://www.d-cue.com[...]
오다큐전철
2021-07-30
[29]
문서
철도도서간행회「철도 픽토리얼」2002년 12월호90페이지「오다큐의 화제 3000형 방음 대책 시험」기사。
[30]
간행물
「방음 커버 시험 장착 차량」의 운행을 개시합니다 <2월14일(토)부터>
http://www.d-cue.com[...]
오다큐전철
2021-07-30
[31]
문서
철도도서간행회「철도 픽토리얼」2004년 7월호TOPIC PHOTOS「오다큐3000형1・2차차가 정면 청대를 가는 띠화」107페이지 기사。
[32]
문서
신마쓰다 - 오다와라간과 에노시마선의 급행 통과역(일부 정차역을 포함한다)은 20m차 6량 편성분의 홈 유효장밖에 없기 때문에。
[33]
간행물
'도라에몽、파만、키테레츠 대백과 등、후지코・F・후지오 씨의 대표 캐릭터가 총출동! 「가와사키시 후지코・F・후지오 뮤지엄」오픈 기념、모두의 꿈을 싣고 달리는 특별 랩핑 전차 오다큐 F-Train』8월3일(수)부터 운행 개시'
http://www.odakyu.jp[...]
오다큐전철
2021-07-30
[34]
웹사이트
옥외 광고물의 책갈피
https://www.toshisei[...]
東京都도시정비국도시만들기정책부녹지경관과
2012-01-19
[35]
간행물
특별 전차「오다큐 F-Train」의 차체 랩핑의 종료에 대해
http://www.odakyu.jp[...]
오다큐전철
2021-07-30
[36]
간행물
"드라에몽, 파만, 키테레츠 대백과 등, 후지코・F・후지오 씨의 대표 캐릭터가 총출동! 모두의 꿈을 싣고 달리는 특별 랩핑 전차 오다큐 F-TrainII』7월 20일(금)부터 운행 개시"
http://www.odakyu.jp[...]
小田急電鉄
2012-07-10
[37]
웹사이트
"오다큐 8000형 갱신차와 3000형이 병결하여 영업 운행"
http://railf.jp/news[...]
交友社『鉄道ファン』railf.jp 鉄道ニュース
2013-02-24
[38]
간행물
2017年度の鉄道事業設備投資計画
http://www.odakyu.jp[...]
小田急電鉄
null
[39]
간행물
2022年度の鉄道事業設備投資計画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null
[40]
간행물
2023年度の鉄道事業設備投資計画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null
[41]
간행물
2024年度の鉄道事業設備投資計画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null
[42]
웹사이트
沿線火災で電車屋根に飛び火 東京・小田急線、けが人なし
https://www.nikkei.c[...]
2017-09-10
[43]
서적
오다큐 전철의 비밀
PHP 연구소
[44]
문서
선두차의 휠체어 공간에 존재하는 3명분의 접이식 간이 좌석을 접은 상태의 입석 정원 증가분은 3명이므로 총 정원은 변하지 않는다
[45]
간행물
'철도 다이어 정보' 통권 145호
[46]
문서
교통 신문사 '오다큐 전철의 세계'에서 이 그룹은 '9차 도입분'임이 기재되어 있다.
[47]
문서
16도트 표시기를 옆에 12개로 늘어 놓은 것을 세로로 3열로 정렬되었다.
[48]
문서
16도트 표시기를 옆에 12개 늘어 놓은 것을 세로로 3열로 정렬 되었다
[49]
문서
특급 차량은 7000형 LSE부터 30000형 EXE까지 원핸들 마스콘의 채용 실적이 있지만, 모두 오른손 조작식이다.
[50]
간행물
『오다큐 F-Train』 8월 3일(수)부터 운행 개시
http://www.odakyu.jp[...]
오다큐 전철
2011-08-02
[51]
웹인용
후지코 F 후지오의 인기 캐릭터가 랩핑 전동차에 '오다큐 F-Train'
http://shinjuku.keiz[...]
新宿経済新聞
2011-08-02
[52]
웹인용
屋外広告物のしおり
http://www.toshiseib[...]
도쿄도 도시정비국 도시만들기 정책부 녹지경관과
2011
[53]
웹인용
오다큐 8000형 갱신차와 3000형이 병결하여 영업 운행
http://railf.jp/news[...]
교우사『철도팬』railf.jp 철도 뉴스
2013-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